
교육공학 : 구성주의 교수설계모형
1. 조나센의 구성주의 학습환경 설계모형
1) 개념 : 조나센은 구성주의 학습환경을 설계하는 데 고려해야 할 6개의 설계요소와 학습자의 학습활동을 지원하는 3개의 교수 활동을 제안함.
2) 설계요소
(1) 문제/프로젝트 : 문제가 학습을 주도할 수 있도록 '문제, 프로젝트'를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그 문제와 관련된 영역의 새로운 지식을 학습한다.
(2) 관련 사례 : '관련 사례'를 충분히 제공하여 학습자가 문제를 보다 명확히 이해하고 인지적 융통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사례는 학습자가 문제를 다른 시각과 해석을 통해 이해하도록 돕는다.
(3) 정보자원 : 문제해결에 필요한 '정보자원'을 충분히 제공해 주어야 한다. 학습자는 정보를 활용하여 문제해결을 위한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하면서 자신의 지식구조를 정교화해 나간다.
(4) 인지도구 : '인지도구'는 학습자가 문제를 원활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학습자의 인지활동을 지원하고 촉진하는 것을 말한다. 인지도구로는 시각화 도구, 조직화 도구, 수행지원 도구, 정보수집 도구 등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5) 대화/협력도구 : '대화/협력 도구'를 제공하여 학습자들이 사회적으로 공유된 지식을 협력하여 구성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학습커뮤니티, 전자게시판, 이메일, SNS, 채팅 등을 통해 학습 공동체를 형성해 상호작용을 증진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6) 사회적/맥락적 지원 : 교수자와 학습자가 구성주의 학습환경이 실행될 맥락적 요인을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3) 교수활동(학습지원)
학습활동 | 교수활동 |
탐색 | 모델링 |
명료화 | 코칭 |
반성, 성찰 | 스캐폴딩 |
다음 포스트는 가네의 교수설계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