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교육공학 : 오수벨의 유의미 수용학습이론

인코 2022. 8. 26. 14:47
반응형

 

 

 

교육공학 : 오수벨의 유의미 수용학습이론

 

1. 개념 : 새로운 지식을 학습자의 기존 인지구조에 의미있게 연결하는 학습 (교사 중심의 설명식 수업 형태)

2. 유의미 학습의 조건

유의미 학습과제 (논리적 유의미가) 인지구조(잠재적 유의미가) 유의미 학습태세(심리적 유의미가)
실사성 : 명제가 어떻게 표현되더라도 그 의미가 불변한다는 것
구속성 : 임의적으로 연결된 관계가 변하지 않는 것
학습자의 인지구조 속에 있는 관련정착지식 학습태세란 학습과제를 인지구조에 포섭하려는 학습자의 성향 또는 의도

 

3.  유의미 학습의 과정

1) 개념 : 오수벨은 유의미 학습이 일어나는 현상을 포섭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한다. 새로운 학습내용을 기존 인지구조에 통합, 일체화하는 과정으로 포섭은 곧 학습을 의미한다.

독립변인 매개변인 종속변인
논리적 유의미 학습과제 인지구조 : 관련정착지식
인지과정 : 포섭
명제의 재생, 파지, 전이

2) 포섭의 유형

유형 내용
종속적 포섭 새로운 학습내용이 기존 인지구조의 하위에 포섭되는 것 (연역적 학습)
상위적 포섭 새로운 학습내용이 기존의 인지구조보다 포괄적인 경우에 발생하는 포섭 (귀납적 학습)
병렬적 포섭 새 학습내용이 기존의 인지구조와 동일한 수평적 관계에 있을 때 발생하는 포섭

 

4. 유의미 학습의 수업 원리

(1) 선행조직자의 원리 : 선행조직자는 인지구조 내에서 관련 정착지식의 역할을 수행하며 유의미 학습을 촉진한다.

(2) 점진적 분화의 원리 : 일반적으고 포괄적인 개념을 먼저 제시하고 그 다음에 구체적이고 세분화된 자료를 제시한다.

(3) 통합적 조정의 원리 : 새로운 개념은 이전에 학습한 내용과 긴밀한 관련성을 맺으며 통합되도록 제시한다.

(4) 선행학습의 요약, 정리의 원리 : 새로운 학습은 이전에 학습한 내용을 요약, 정리해 주면 학습이 촉진된다. 

(5) 내용의 체계적 조직의 원리 : 학습내용이 계열적, 체계적으로 조직되어 있으면 학습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6) 학습 준비도의 원리 : 학습과제는 학습자의 인지구조를 포함한 발달수준에 맞게 제공되어야 한다.

 

 

다음 포스트는 구성주의 학습설계이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