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공학 : 완전학습모형
1. 캐롤의 학교학습모형
1) 개념 : 학교학습의 완전학습모형으로 학교학습의 여러 형태 중 지적 학습에 작용하는 주요 변인들을 추출한 후 그 변인들 간의 상호관계를 토대로 체계화한 것이다. (정의적 학습에는 적용 곤란)
2) 학교학습의 모형도 : 학습자가 성취한 학습의 정도는 학습에 필요한 시간에 대한 학습에 사용한 시간의 비율로 결정된다.
학습의 정도 = 학습에 사용한 시간(학생의 기회, 학습 지속력) / 학습에 필요한 시간 (교수의 질, 학생의 적성, 교수이해력)
3)학습의 정도를 결정하는 변인(학습시간의 결정 변인)
(1) 개인차 변인(학생 변인)
적성 | 최적의 학습 조건에서 주어진 과제를 완전히 학습하는 데 필요한 시간 |
교수 이해력 | 수업내용이나 교사의 설명을 이해하는 학습자의 능력 적성이 과제의 종류와 성질에 따라 변화하는 특수한 능력임에 반해, 교수이해력은 여러 과제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일반적인 능력 |
학습 지속력 | 학습자가 인내를 발휘하여 실제로 노력한 시간 |
(2) 수업 변인(교사 변인)
교수의 질 | 교사의 학습과제 제시나 수업방법에서의 적절성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목표와 학습방법을 사전에 알려주어 학습과제의 가치를 인식하게 함으로써 학습동기를 유발시키고, 학습과제를 적절하게 계열화하여 제시 |
학습 기회 | 학습과제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학습자에게 허용된 시간 |
4) 시사점
- 학습에 필요한 시간인 교수의 질을 높이면 학생들의 교수 이해력이 높아지고, 학습 지속력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학습의 정도를 높일 수 있다.
- 학습에 필요한 시간은 줄이고 학습에 사용한 시간을 늘리면 학습의 정도가 최대치가 된다.
2. 블룸의 완전학습모형
1) 개념 : 학급의 95% 학생들이 학습과제의 90% 이상 학습하는 것을 완전학습이라고 보고, 이를 달성할 수 있는 수업 전략
2) 완전학습모형
단계 | 내용 | |
수업 전 | 1단계 : 학습결손진단 | 진단평가를 실시하여 기초학력을 진단함 |
2단계 : 학습결손 보충 지도 | 프로그램 학습을 사용하여 결손학습을 보충함 | |
수업 중 | 3단계 : 수업목표 명시 | 구체적인 수업 목표를 명시함 |
4단계 : 수업 | 실제적인 교수학습활동을 전개함 | |
5단계 : 수업 보조활동 |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기 위해 여러 가지 자료를 제시함 | |
6단계 : 형성평가 | 형성평가를 통해 보충학습군과 심화학습군으로 구분함 | |
7단계 : 보충학습 | 학습부진아를 대상으로 보충학습 시행 | |
8단계 : 심화학습 | 학습정상아를 대상으로 심화학습 시행 | |
9단계 : 제2차 학습기회 | 자율학습, 협력학습의 기회를 마련해 줌 | |
수업 후 | 10단계 : 총괄평가 | 수업 종결 후 학업 성취도를 평가함 |
3) 특징
- 학습시간 중시 : 교수의 질, 적성과 교수이해력을 높여 학습에 필요한 시간을 줄이고, 보충학습을 포함한 학습기회를 충분히 제공하여 학습에 사용한 시간을 늘리면 완전학습에 이를 수 있다.
- 형성평가와 보충학습, 심화학습 강조 : 형성평가를 통해 계속적인 보충학습과 심화학습의 기회를 제공한다.
- 철저한 개별화수업 및 교정학습 강조 : 학습단계마다 따라가지 못하는 학습자에게 철저한 개별화수업을 통해 보충학습과 교정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면 완전학습에 이를 수 있다.
다음 포스트는 브루너의 발견학습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