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교육공학 : 완전학습모형

인코 2022. 8. 25. 10:49
반응형

 

교육공학 : 완전학습모형

 

1. 캐롤의 학교학습모형

1) 개념 : 학교학습의 완전학습모형으로 학교학습의 여러 형태 중 지적 학습에 작용하는 주요 변인들을 추출한 후 그 변인들 간의 상호관계를 토대로 체계화한 것이다. (정의적 학습에는 적용 곤란)

2) 학교학습의 모형도 : 학습자가 성취한 학습의 정도는 학습에 필요한 시간에 대한 학습에 사용한 시간의 비율로 결정된다.

 

학습의 정도 = 학습에 사용한 시간(학생의 기회, 학습 지속력) / 학습에 필요한 시간 (교수의 질, 학생의 적성, 교수이해력)

 

3)학습의 정도를 결정하는 변인(학습시간의 결정 변인)

(1) 개인차 변인(학생 변인)

적성 최적의 학습 조건에서 주어진 과제를 완전히 학습하는 데 필요한 시간
교수 이해력 수업내용이나 교사의 설명을 이해하는 학습자의 능력
적성이 과제의 종류와 성질에 따라 변화하는 특수한 능력임에 반해, 교수이해력은 여러 과제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일반적인 능력
학습 지속력 학습자가 인내를 발휘하여 실제로 노력한 시간

 

(2) 수업 변인(교사 변인)

교수의 질 교사의 학습과제 제시나 수업방법에서의 적절성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목표와 학습방법을 사전에 알려주어 학습과제의 가치를 인식하게 함으로써 학습동기를 유발시키고, 학습과제를 적절하게 계열화하여 제시
학습 기회 학습과제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학습자에게 허용된 시간

 

4) 시사점

- 학습에 필요한 시간인 교수의 질을 높이면 학생들의 교수 이해력이 높아지고, 학습 지속력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학습의 정도를 높일 수 있다.

- 학습에 필요한 시간은 줄이고 학습에 사용한 시간을 늘리면 학습의 정도가 최대치가 된다. 

 

2. 블룸의 완전학습모형

1) 개념 : 학급의 95% 학생들이 학습과제의 90% 이상 학습하는 것을 완전학습이라고 보고, 이를 달성할 수 있는 수업 전략

2) 완전학습모형

단계 내용
수업 전 1단계 : 학습결손진단 진단평가를 실시하여 기초학력을 진단함
2단계 : 학습결손 보충 지도 프로그램 학습을 사용하여 결손학습을 보충함
수업 중 3단계 : 수업목표 명시 구체적인 수업 목표를 명시함
4단계 : 수업 실제적인 교수학습활동을 전개함
5단계 : 수업 보조활동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기 위해 여러 가지 자료를 제시함
6단계 : 형성평가 형성평가를 통해 보충학습군과 심화학습군으로 구분함
7단계 : 보충학습 학습부진아를 대상으로 보충학습 시행
8단계 : 심화학습 학습정상아를 대상으로 심화학습 시행
9단계 : 제2차 학습기회 자율학습, 협력학습의 기회를 마련해 줌
수업 후 10단계 : 총괄평가 수업 종결 후 학업 성취도를 평가함

 

3) 특징

- 학습시간 중시 : 교수의 질, 적성과 교수이해력을 높여 학습에 필요한 시간을 줄이고, 보충학습을 포함한 학습기회를 충분히 제공하여 학습에 사용한 시간을 늘리면 완전학습에 이를 수 있다.

- 형성평가와 보충학습, 심화학습 강조 : 형성평가를 통해 계속적인 보충학습과 심화학습의 기회를 제공한다.

- 철저한 개별화수업 및 교정학습 강조 : 학습단계마다 따라가지 못하는 학습자에게 철저한 개별화수업을 통해 보충학습과 교정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면 완전학습에 이를 수 있다.

 

다음 포스트는 브루너의 발견학습모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