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 교육과정] : 교육과정 유형
2. 잠재적 교육과정
(1) 개념 : 공식적 교육과정에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학교에서 은연 중에 학습되는 경험의 총체.
(2) 의미 : 애초에 계획되지 않는 것일 수도 있고, 의도가 숨겨져 있기 때문일 수도 있다.
① 공식적 교육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았으나 학생이 겪게 되는 경험
- 학생들은 학교생활을 하는 동안 군집성, 상찬, 권력관계 등을 통해 은연 중에 학교생활에 적응하는 방식을 배운다.
② 공식적 교육과정에 의도적으로 숨긴, 숨어있는 교육과정
- 교육과정이 만든 사람들의 가치가 의도적으로 숨겨져 있을 경우 학생들은 교육내용을 학습하면서 그 숨겨진 가치를 습득하게 된다.
- 일리치는 학교의 공식적 교육과정이 은밀하고 부당한 방식으로 학생들에게 가치를 주입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탈학교 사회를 주장.
- 애플은 학생은 잠재적 교육과정에 의해 기존의 사회체제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합의와 안정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게 되어 기존의 사회체제에 순응하는 태도와 사고를 기르게 된다고 비판했다.
(3) 잠재적 교육과정이 나타나는 원천
원천 | 내용 |
학교생태 | 잭슨 : 군집성, 상찬, 권력관계 군집성 : 다양한 계층의 아이들이 학교에 모임으로써 상호 간에 어울리는 방법을 배운다. 상찬 : 학생들은 상이나 칭찬을 받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알아간다. 권련 관계 : 학생들은 학교 적응을 위해 교사와 학교 당국의 권위에 적응하는 것을 배운다. 김종서 : 군집성, 위계성, 목적성, 강요성 |
학교의 장 | 물리적 조건, 학교의 제도 및 행정 조직, 사회 및 심리적 상황 |
인적 구성요소 | 학교 행정가, 교사, 학생, 학부모 |
사회 환경 | 사회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잠재적 교육과정이 형성됨 |
(4) 특징
구분 | 표면적 교육과정 | 잠재적 교육과정 |
교육방법 | 학교의 의도적 계획적 조직 및 자도하에 학습 | 학교 생활에서의 무의도적 학습 |
학습영역 | 인지적 영역 | 정의적 영역 |
학습경험 | 교과, 교재 | 학교의 문화와 풍토, 생활 경험 |
학습기간 | 단기적, 일시적, 비영속적 | 장기적, 반복적, 영속적 |
교사의 역할 | 지적, 기능적 영향 | 인격적, 도덕적 감화 |
학습 내용 | 가치 지향적인 내용 | 가치 지향적인 것과 무가치적 반사회적인 내용 모두 학습 |
3. 영 교육과정(배제된 교육과정)
(1) 개념 : 배울 만한 가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식적 교육과정이나 수업에서 배제된 교육과정
(2) 의미
① 공식적 교육과정에 들어 있지 않아서 학생들이 학습하지 못한 교육내용
② 공식적 교육과정에는 포함되어 있지만 학습할 기회가 없었던 교육내용
(3) 특징
- 공식적 교육과정의 필연적 부산물
- 학생의 학습기회를 박탈
(4) 잠재적 교육과정과 영 교육과정의 특징 비교
구분 | 잠재적 교육과정 | 영 교육과정 |
의도성 | 학교에서 의도하지 않은 교육과정 | 학교에서 의도적으로 배제된 교육과정 |
명시성 | 교육과정에 명시되어 있지 않음. | |
초점 | 교육환경의 잠재적 기능에 초점 | 학습 기회의 박탈에 초점 |